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커뮤니티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커뮤니티입니다.

공지사항

10-2학기 전공필수종합시험 출제교수 안내 & tip

등록일 10-11-02 19:35
  • 작성자 행정실
  • 조회수 7,597

2010학년도 2학기 전공필수종합시험 출제교수를 다음과 같이 안내해드립니다.

시험을 준비하시는 학생분들께서는 시험 준비에 참고해주시기바랍니다.

 

※ 출제 교수 안내

- 대인커뮤니케이션 : 이선영 교수님

- 수사학 : 허경호 교수님

- 매체미학 : 이기형 교수님

- 문화예술론 : 손수호 교수님

- 크리에이티브 발상 : 홍지아교수님

- 영상발달사 : 홍지아 교수님

- 저널리즘개론 : 이종혁 교수님

- 취재보도론 : 이종혁 교수님

- 광고론 : 김 영 교수님

- 홍보론 : 최홍림 교수님

- 소비자 행동 : 이정교 교수님

- 정치커뮤니케이션 : 김창남 교수님

- 저작권론 : 김기태 교수님

 

금일(2일) 해당 출제교수님들께 E-mail로 출제를 의뢰드렸으며,

해당과목의 출제 tip이 있는 경우 5일(금)까지 보내주십사 부탁을 드린 상태입니다.

 

또한, 출제교수와 수강교수가 다른 경우가 있음을 출제교수님들께 공지해드렸으며,

교수님들간의 협의를 통해 출제해주실 것을 부탁드렸습니다.

 

교수님들께 출제  tip이 도착하는대로 공지할 예정이며,

교수님에 따라 tip이 없을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출제tip

소비자행동

소비자행동 종합시험과 관련된 study 지침내용입니다.

시험은 수업 시 사용하였던 교과서와 수업노트를 중심으로 준비하시면 되고 다음의 내용들에 중점을 두고 공부하시면 됩니다.

- 절대적 식역(문턱)과 차등적 식역(문턱)

- Weber의 법칙,

-J.N.D.

-정교화 가능성 모델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소비자 장/단기 기억체계

-태도 측정과 예측을 위한 Fishbein 모형 (Multi-attribute model)

-Fishbein의 이성적 행동모형(Theory of Reasoned Action)

-시장 세분화

-STP 전략

-소비자 조사 및 시장세분화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심리통계학적 변인들의 중요성

-소비자 관여도

 

 

매체미학

다음의 개념들에 대해 정리와 비교를 해보세요

-  '상품미학'이란 무엇인가?
- '스펙타클의 사회'란 어떻게 대두된 개념이며, 지식생산과 사회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가?
- 매체현상에 대한 기호학이나 세밀한 텍스트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방법론의 장단점은 어떻게 지적되고, 또한 보완될 수 있는가?
- 매체와 이데올로기(들)의 생산과 관한 쟁점들을 정리해 볼 것.

 

홍보론

시험은 두문제. PR의 사회적 의미, CSR관련한 내용.
그리고 위부분에 대한 강의노트와 밑의 논문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세부적인 사항보다는 전반적인 이해를 하시는게 도움이 될 듯합니다.
그리고 밑에 논문은 홍보론 네이버 카페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1. 최홍림 (2009). PR의 사회적 의미에 관한 고찰과 이상적 대안: 대화와 포스트모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1(2), 71-99.

2. Dozier, D. M. & Lauzen M. M. (2000). Liberating the intellectual
domain from the practice: public relations, activism, and the role of
the scholar,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2(1), 3-22.

3. Berger, K. B (1999). The halcion affair: public rela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ideological world view,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1(3), 185-203.

4. Karlberg, M. (1996). Remembering the public in public relations
research: from theoretical to operational symmetry,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8(4), 263-278.

5. Starck, K. & Kruckeberg, D. (2003). Ethical obligations of public
relations in an era of globaliz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Management, 8 (1), 29-40

6. L'Etang, J. (2005). Critical public relations: some reflections,
Public Relations Review, 31, 521-526.



수사학  

1. 수사학의 기원인 고전적 수사학의 흐름을 잘 정리해보세요(유명한 수사학자, 소피스트들의 업적 및 저술 등을 중심으로)

  2. 현대에 적용할 수 있는 수사학 이론을 들고 내용을 정리해서 응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